병산서원 - 안동시, 경상북도

주소: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병산길 386 병산서원.
전화번호: 548585929.
웹사이트: byeongsan.net
전문 분야: 역사적 명소.
기타 관심사항: 휠체어 이용가능 주차장, 어린이에게 적합함.
리뷰: 이 회사는 Google My Business에서 2339개의 리뷰를 가지고 있습니다.
평균 의견: 4.5/5.

📌 의 위치 병산서원

병산서원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병산길 386 병산서원

⏰ 운영 시간 병산서원

  • 월요일: 오전 9:00~오후 6:00
  • 화요일: 오전 9:00~오후 6:00
  • 수요일: 오전 9:00~오후 6:00
  • 목요일: 오전 9:00~오후 6:00
  • 금요일: 오전 9:00~오후 6:00
  • 토요일: 오전 9:00~오후 6:00
  • 일요일: 오전 9:00~오후 6:00

병산서원

병산서원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병산길 386에 위치한 역사적 명소입니다.

병산서원은 한국의 유교서원으로, 문화재적 가치가 높으며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등록되어 있습니다.

주말에 방문하였으며, 한국의 서원으로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등록되어 있으며 스탬프랠리 중이시다면 주차장 관광안내소 앞에 스탬프가 비치되어 있습니다.

유교서원으로 문화재적 가치가 높으며 마루에 앉아 물길따라 흐르는 낙동강을 바라보고 맞은편에 서있는 기암절벽을 바라보고 있으면 절로 기분이 좋아지는 것 같아집니다.

하회마을과 가까워서 단체 관광객들도 많지만 주차장까지의 길이 아직 잘 다듬어 지지 않아 자차를 이용해도 조금 불편합니다.

하지만 안동에 오신다몀 꼭 한번 들려보시라고 추천드리는 곳으로 하회마을과 함께 오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기타 관심사항

전화번호: 548585929

웹사이트: byeongsan.net

전문 분야: 역사적 명소

기타 관심사항: 휠체어 이용가능 주차장, 어린이에게 적합함.

리뷰

이 회사는 Google My Business에서 2339개의 리뷰를 가지고 있습니다.

평균 의견: 4.5/5.

👍 의 리뷰 병산서원

병산서원 - 안동시, 경상북도
황재원
5/5

조선시대 서원 건축의 교과서라 불리는 장소입니다. 매우 평화롭고 아름답습니다. 한국의 전통문화와 정신을 생각할 수 있는 곳입니다. 적극 추천합니다.

병산서원 - 안동시, 경상북도
최영걸
5/5

주말에 방문 하였습니다.
한국의 서원으로 유네스코문화유산에 등록되어 있으며 스탬프랠리 중이시다면 주차장 관광안내소 앞에 스탬프가 비치되어 있습니다.
유교서원으로 문화재적 가치가 높으며 마루에 앉아 물길따라 흐르는 낙동강을 바라보고 맞은편에 서있는 기암절벽을 바라 보고 있으면 절로 기분이 좋아지는 것 같있습니다.
하회마을과 가까워서 단체 관광객들도 많지만 주차장까지의 길이 아직 잘 다듬어 지지 않아 자차를 이용해도 조금 불편합니다.
하지만 안동에 오신다몀 꼭 한번 들려보시라고 추천드리는 곳으로 하회마을과 함께 오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병산서원 - 안동시, 경상북도
B.S C.
5/5

병산서원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하회마을에서 조금 떨어진 위치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퇴계이황 선생과 더불어 영남지역에서 성리학을 연구한 대표적인 학자이기도 한 서애 류성용선생이 유학자들을 양성하던 조선시대 교육기관으로서 큰 역할을 하던 유서깊은 곳이다.
병산서원은 강학영역의 입교당, 동재, 서재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병산을 마주보고있는 만대루가 자리잡고 있다.

강학 영역은 학문을 배우는 공간으로, 강당인 입교당과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로 구성되어 있다. 입교당은 유생들이 배우고 원장과 교수가 거처하는 서원의 중심 공간이다. 입교는 가르침을 바로 세운다.'는 뜻이다. 강학당을 중심으로 양옆에 온돌방이 있는데, 오른쪽 명성재에는 원장이 사용하였고 왼쪽 경의재에는 교수와 선비들이 사용하였다. 명성'은 밝음으로 성실을 가르친다.'는 뜻이고, '경의'는 '항상 스스로 경계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앞마당 좌우에 마주보고 선 두 건물이 동재와 서재이다. 동재에는 동직재해'라는 현판이, 서재에는 '정허재"효'와 '장서 실활출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동재 큰 방에는 상급생들이 기거하였고, 작은 방은 학생회장인 유사해가 사용하는 독방이다. 서재의 큰 방에는 하급생이 기거하였으며, 작은 방은 책을 보관하기 위해 온돌은 놓지 않고 마루를 깔았다.
하회마을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매우 의미를 있는 생활공간으로서의 절제된 소박한 미를 보여주고 있으며, 영국의 엘리자베스여왕, 미국의 조지 W.부시 대통령이 방문한 곳이기도 하다.

병산서원 - 안동시, 경상북도
Andrés
5/5

조선 중기 영의정을 지낸 서애 류성룡 선생을 향사한 서원이다.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 조치에도 존치될 수 있었던 사액 서원.
입교당에 걸터앉아 만대루의 기둥을 통해 바라보는 병산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가히 7폭의 병풍과도 같은 멋진 풍경에 걸맞는 시상이 떠오를지도.
무료라는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많은 것을 보고 느낄 수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이었다.
충분한 주차공간과 깨끗한 화장실 이용 가능함.

병산서원 - 안동시, 경상북도
데나리온(DENARION)
5/5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에 위치한 서원.

류성룡과 관계가 있는 서원이며, 도산서원과 함께 안동을 대표하는 서원이다. 배산임수 및 한국 건축의 철학을 뚜렷하게 보여주는 건축물 중 하나로 근래에는 만대루를 비롯한 건축물과 주변 풍경의 아름다움으로 이름이 높다. 특히 '병산'이라는 이름처럼 사방에 산이 병풍처럼 둘러싸여 있다. 비 온 뒤의 안개와 고즈넉한 분위기가 절경이다.

1978년 3월 31일에 대한민국의 사적으로 지정되었다.[1] 옥산서원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중복으로 등재되어 있는데 2010년 7월 31일에 하회마을의 일원으로 먼저 등재되었으며 2019년 7월 6일에는 한국의 서원 중 하나로도 등재되었다.

2. 역사[편집]

고려 시대의 사림의 교육 기관인 풍산현의 풍악서당(豊岳書堂)을 선조 5년(1572년)에 류성룡이 안동으로 옮겨왔고, 1614년에 병산서당으로 개칭되었다. 철종 14년(1863년)에 사액(賜額)되어 서원으로 승격하였다.

고종 5년(1868년)에 벌어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이 내렸을 때에도 가치있는 47개 서원으로 지정되어 훼철(毁撤)되지 않고 보호되었다.

일제강점기에 대대적인 보수가 행해지면서 강당은 1921년에, 사당은 1937년에 각각 다시 지어졌다.

대한민국의 서원 중에서 유일하게 교육기관으로서의 명맥을 이어나가는 곳이다.[2] 후학들이 돈을 모아 비교적 교통이 편한 안동시 풍산읍에 풍산고등학교를 설립하여 공식적인 후신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병산서원 - 안동시, 경상북도
서나
4/5

주차장에서 10여분정도 걸어가면 병산서원이 있다. 해설사분께서 설명을 해주셨다.
앉아있자니 시원한 바람에 멋있는 풍경까지 더할게 없다.

병산서원 - 안동시, 경상북도
Reno P.
4/5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서원으로, 서애 류성룡(柳成龍, 1542~1607)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설립된 유교 교육기관입니다. 병산서원은 한국 전통 건축과 유교 문화를 대표하는 유산으로, 1978년 사적 제260호로 지정되었으며, 201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서원 중 하나입니다.

역사와 설립 배경
•전신: 풍악서당, 병산서원의 전신은 고려 말부터 풍산현에 있던 풍악서당(豊岳書堂)으로, 풍산 류씨 가문의 교육기관이었습니다. 1572년(선조 5년), 류성룡이 서당을 현재의 위치로 옮겼습니다. 임진왜란 중 서당이 불타버렸으나, 1607년 류성룡이 타계한 후 그의 제자 우복 정경세(鄭經世)가 학덕을 기리기 위해 사당 존덕사(尊德祠)를 건립하고 병산서원으로 개칭하였습니다.
•사액 서원:1863년(철종 14년), 병산서원은 왕으로부터 ‘사액’(賜額)을 받아 국가에서 인정받는 서원이 되었습니다.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1868년)에도 훼철되지 않고 보존된 전국 47개 서원 중 하나입니다.

주요 건축물과 특징
1.만대루(晩對樓): 병산서원의 대표적인 건축물로, 강당 앞에 위치한 누각입니다. 탁 트인 구조로 낙동강과 병풍처럼 둘러싼 산세를 조망할 수 있어 경관이 뛰어납니다.
2.존덕사(尊德祠): 류성룡과 그의 셋째 아들 류진(柳袗)을 모신 사당입니다.매년 음력 3월과 9월 초정일에 향사를 지냅니다.
3.장판각(藏板閣): 류성룡이 저술한 『징비록』 등 귀중한 목판 자료를 보관하는 곳입니다.
4.복례문·입교당: 유생들이 학문을 배우고 생활하던 공간으로, 조선시대 서원의 전형적인 배치를 보여줍니다.

병산서원 - 안동시, 경상북도
이종호
5/5

유네스코 지정 한국서원답게 주변 병산의 풍경과 낙동강이 아주 잘 어우러진 서원입니다. 7월 배롱꽃나무와 풍경이 정말 아름답습니다.

Go up